본문으로 건너뛰기

유저 편의 기능

Buzzvil SDK를 연동한 후 추가할 수 있는 유저 편의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다크 테마(Dark theme) 설정

Buzzvil SDK는 시스템 테마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다크 테마가 적용됩니다. 버즈빌 지면을 라이트 테마 또는 다크 테마로 고정하고 싶은 경우 버즈빌 담당자(help@buzzvil.com)에게 연락하세요.

액션형 광고의 유저 문의 기능 추가하기

Buzzvil SDK는 동영상 시청, 앱 설치, 페이스북 페이지의 ‘좋아요’ 클릭 등 다양한 유저 액션에 리워드를 지급하는 액션형 광고를 제공합니다. 액션형 광고에 참여한 유저가 포인트 적립에 실패하는 경우, Buzzvil SDK에서는 문의(이하 VOC) 접수와 처리를 자동화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VOC 기능을 추가하려면 다음의 절차를 따르세요.

  1. VOC 처리 페이지를 불러오기 위한 UI(아이콘 또는 탭)을 디자인하세요.
  2. 1번 단계에서 디자인한 UI를 클릭하면, BuzzBenefit.showInquiryPage(Context, YOUR_UNIT_ID)를 호출하세요.
  • 이때, YOUR_UNIT_ID 인자는 필수로 설정해야 합니다. 각 지면에 맞는 Unit ID 값을 사용하세요.

광고 타입 확인하기

네이티브 지면의 광고 타입을 알고 싶은 경우 BuzzNativeAd 에서 제공하는 함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의
광고 타입은 특정 광고를 분류하는 용도로 쓰기에 부적합할 수 있습니다.

BuzzNativeAd 에서 광고 타입을 확인하는 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함수설명리턴 값
BuzzNativeAd.revenueTyperevenueType을 string으로 반환합니다.
  • cpinsta: 인스타그램 계정을 팔로우하면 포인트를 주는 광고입니다.
  • cpa: 회원가입, 보험료 조회 등 특정 액션을 완료하면 포인트를 주는 광고입니다.
  • cpe: 앱을 설치하고 실행하면 포인트를 주는 광고입니다.
  • cpi: 앱을 설치하면 포인트를 주는 광고입니다.
  • cpl: 페이스북 계정을 팔로우하면 포인트를 주는 광고입니다.
  • cps: 물품 구매를 완료하면 포인트를 주는 광고입니다.
  • cpyoutube: 유튜브 채널을 구독하면 포인트를 주는 광고입니다.
  • cpylike: 유튜브 채널을 구독하고 영상을 좋아하면 포인트를 주는 광고입니다.
  • cptiktok: 틱톡 계정을 팔로우하면 포인트를 주는 광고입니다.
  • cpnstore: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찜하면 포인트를 주는 광고입니다.
  • cpq, cpqlite, cpcquiz: 퀴즈를 맞추면 포인트를 주는 광고입니다.
  • cpk: 카카오 페이지를 추가하면 포인트를 주는 광고입니다.
  • cpc: 클릭을 통해 광고주 페이지에 랜딩하면 포인트를 주는 광고입니다.
  • cpm: 광고가 1,000번 노출되면 광고주가 비용을 지급하는 광고입니다.
  • cpv: 영상 시청을 완료하면 포인트를 주는 광고입니다.
  • -cps: cps를 제외한 광고입니다.

다음은 BuzzNativeAd 에서 광고 타입을 확인하는 예제입니다.

import com.buzzvil.buzzbenefit.buzznative.BuzzNative
import com.buzzvil.buzzbenefit.buzznative.BuzzNativeAd

BuzzNative(nativeAdUnitId)?.load(
onSuccess = { nativeAd: BuzzNativeAd ->
val revenueType = nativeAd.revenueType

if (revenueType == "cpa") {
// 액션형 광고일 때 동작
}
},
onFailure = { adError -> ... }
)